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과학 글쓰기, 과학은 관찰과 실험의 과학이다.

by 레아쌤 2022. 11. 21.
반응형

과학적인 활동이 무엇인가?” 이 물음에 대해 답을 얻어가는 과정이 과학의 본질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우리 주변을 감지하고 이 환경에 적응한다. 주변을 관찰하면서 얻어진 정보 속에서 규칙성을 발견하고 정리하여 다음 세대에게 유용한 정보를 전달하는 능력이 인간에게 주어진 탁월한 능력이라 생각한다. 이 능력이 인간의 유전자에 심어지고 되었고, 다른 동물들과 차별화되는 정보처리 능력이 육체적으로 약한 종인 인간을 지구의 최강자로 살아남게 한 것이다. 이러한 관찰, 규칙성 발견, 일반화 및 과학적 사실의 전달 과정은 세대를 거듭할수록 발전하여 과학이란 학문으로 인류의 발전을 이끌게 되었다. 새로운 정보를 얻고 개발하여 더 나은 환경을 만들어내려는 의지가 과학의 발전을 이끌어 온 것이다. 우리는 모두 훌륭한 관찰자이다. 따라서 우리가 어떤 주제든지 연구 주제로 정하여 과학적인 연구를 할 수도 있고, 반대로 우리 주변의 현상에서 흥미로운 점을 발견하여 과학적인 활동으로 확대하여도 된다. 전자든 후자든 주의 깊게 관찰하고 자세히 기록하면서 과학적인 질문이나 의문을 떠올리는 활동이 과학의 첫 단계라 할 수 있다. 두번째 과학의 활동은 관찰과 기록을 통해 규칙성을 발견하는 단계인데 귀납적인 추리를 통해 규칙성을 발견하고 이것을 일반화하여 가설을 설정한다. 이 가설을 입증하기 위해 실험을 설계하고, 원하는 결과를 얻으면 과학적인 설명으로 일반화한다. 반대로 예측한 내용과 실험 결과가 맞지 않을 때는 새로운 가설을 설정하여 실험활동을 한 후 새로운 가설이나 수정된 가설로 나만의 이론을 만들 수 있다. 만약 의미 있는 실험 결과를 얻었다면 이것을 다른 사람들에게 유의미하게 전달하는 과정도 과학활동에서 큰 비중을 자치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근대적인 원자모형은 돌턴의 원자론부터 출발한다. 돌턴이 자신만의 생각이나 실험 결과를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지 않았다면 그의 실험과정을 처음부터 반복해야만 원자라는 개념이 나오고, 원자라는 개념이 후행연구인 분자라는 개념의 발견에 도움을 줄 수 없었을 것이다. 그리고 화학의 꽃인 몰(mole)개념을 이용한 화학반응에서의 양적 관계에 관한 새로운 영역이 밝혀지는데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했을 것이다. 그러므로 과학적 지식의 발견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전달 과정이고, 많은 과학자가 자신의 연구 결과를 과학적인 언어를 사용하여 인류가 공유하고자 노력하는 과정이 바로 유의미한 전달을 의미한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자신의 연구결과를 논문으로 제작하고 발표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다. 과학적 언어란 나의 규칙성을 정성적인 표현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보일의 법칙을 정성적으로 설명한다면 압력이 증가할수록 기체의 부피는 감소한다는 것이다. 그 다음은 정량적인 표현이 필요한데 압력을 변화하면서 얻은 기체 부피의 측정값을 제시하는 것이 정량적인 표현이다. 이것을 그래프나 표의 형태로 표현하면 나의 실험 결과를 다른 사람에게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그래프나 표 속의 수학적인 표현은 연구 결과의 확실성과 불확실성을 판단할 수 있는 가장 훌륭한 도구가 될 수 있다. 이렇게 과학적인 언어로 연구 결과의 규칙성을 발표하는 것이 과학 활동의 마무리 단계라 할 수 있다. 내가 훌륭한 과학자인지 궁금하다면 나 자신이 얼마나 주변에 호기심을 가지고 관찰하는 사람인지 돌아보기를 권한다. 호기심에서 머무르지 않고 원인을 찾는 활동과 유사성을 지니는 사례를 찾는 활동에 적극적인지 판단해보라. 대부분은 실험실이나 교실에서 연구주제를 찾거나, 학습활동을 할 때만 과학적인 탐구활동을 하고 일상생활에서는 흥미로운 주제도 놓치기도 하며 비과학적 사고로 판단하는 경우가 많다. 과학은 실험실에 갇혀있는 지식이 아니다. 아주 오랜 옛날부터 생존을 위해 인간이 꾸준히 그리고 필연적으로 해온 활동이다. 주변에 호기심을 지니고 연구주제를 발견하고 규칙성을 발견하여 과학적인 언어로 표현하는 습관을 지닌다면 여러분도 이미 훌륭한 과학자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