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452 과학 글쓰기, 화학평형과 평형이동-르 샤틀리에의 원리 화학반응은 반응의 가역성을 기준으로 가역반응과 비가역반응으로 나눌 수 있다. 연소반응이나 앙금생성반응은 반응이 일어나고 나면 다시 역반응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 비가역반응이라고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화학반응 중에는 농도, 압력, 온도 등의 반응 조건에 따라 정반응이 우세하게 일어나기도 하고 반대로 역반응이 우세하게 일어나는 반응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반응을 가역반응이라고 한다. 가역반응에서 생성물과 반응물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때 겉으로 보기에는 반응이 정지한 것처럼 보이는 상태를 화학 평형상태라고 한다. 화학평형에서는 정반응과 역반응의 속도가 같아 이를 동적 평형 상태라고도 한다. 화학 평형 상태에서는 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는 외부 조건 즉 온도와 압력이 변하지 않으면 각각 일정하게 유지된다. 용.. 2022. 11. 19. 과학 글쓰기, 화학 반응에서 열 출입과 엔탈피 화학반응이 일어날 때는 반드시 열의 출입이 일어난다. 열을 주위로 방출하는 반응을 발열반응, 열을 흡수하는 경우를 흡열반응이라고 한다. 화학반응이 일어날 때 열의 출입이 일어나는 이유는 물질이 가지는 고유한 에너지가 존재하고 화학반응을 통해 반응물질이 생성물질로 변화하면서 각각이 가지는 에너지가 달라 그 차이가 흡수되거나 방출되기때문이다. 이처럼 일정한 온도와 압력에서 물질이 가지는 에너지를 엔탈피라고 부른다. 엔탈피의 차이를 반응 엔탈피 또는 반응열이라고 부르고, 화학반응에서 생성물질의 엔탈피의 총합에서 반응물질의 엔탈피 총합을 빼서 구한다. 반응 엔탈피가 0보다 작은 값이면 생성물질의 엔탈피의 총합이 더 작은 경우이므로 에너지를 방출하는 발열반응이 된다. 반대로 반응 엔탈피가 0보다 큰 값이면 생성물.. 2022. 11. 19. 과학 글쓰기, 묽은 용액의 총괄성 묽은 용액의 증기압 내림, 끓는점 오름, 어는점 내림, 삼투압은 용질의 종류와 관계없이 용질의 입자수에만 비례하는데 이것을 묽은 용액의 총괄성이라고 한다. 증기압 내림 현상이란 비휘발성 용질이 녹아 있는 용액의 증기압력은 순수한 용매의 증기압력보다 낮다는 것으로, 예를 들어 순수한 물의 증기압력과 설탕물의 증기압력을 비교한다면 설탕물의 증기압력이 낮아지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증기압력이란 액체의 증발속도와 기체의 응축 속도가 같은 동적 평형을 이룬 상태에서 기체 즉 증기가 나타내는 압력을 말하고, 증기압이라고 말한다. 용액의 경우 용매와 용질 분자 사이의 인력으로 표면에서 증발할 수 있는 용매 입자의 수가 감소하여 순수한 용매보다 증기압이 작아지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것을 증기압 내림이다. 예를 들어.. 2022. 11. 19. 과학 글쓰기, 고체 결정의 종류와 특징 물질의 세 가지 상태인 기체, 액체, 고체 중 고체는 구성하는 입자들 사이의 인력이 가장 강하게 작용하여 입자들이 고정된 위치에서 진동운동만 한다. 따라서 일정한 모양을 가지고 유동성은 없으며, 압력과 온도변화에 따른 부피 변화가 거의 없다. 고체는 결정성고체와 비결정성고체로 나뉜다. 고체를 구성하는 입자의 배열이 규칙적이어서 입자의 결합을 끊어서 상태변화를 일으키는 에너지가 일정하므로 녹는점이 일정한 고체를 결정성 고체라고 한다. 예로 드라이아이스, 얼음 등이 결정성 고체에 해당한다. 반면 입자의 배열이 불규칙적이고 결합 중 일부는 먼저 끊어지고 다른 일부는 더 높은 온도에서 끊어져 녹는점이 일정하지 않은 고체를 비결정성고체라고 한다. 유리, 엿 등이 비결정성 고체에 해당한다. 고체의 종류를 나눌 때 .. 2022. 11. 19. 이전 1 ··· 109 110 111 112 11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