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모발과학47 모발과학(35) 파마의 종류(기법과 시술방법에 따른 분류) 펌제의 사용방법에 따른 분류>원스텝웨이브(one step wave)와 투스텝웨이브(two step wave)로 나눌 수 있습니다. 원스텝웨이브는 퍼머넌트 웨이브제 중 2제인 중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1제인 환원제만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주로 치오글리콜산 암모늄을 주원료로 하여 만들어진 환원제를 사용합니다. 치오글리콜산 암모늄이 모발 중의 시스틴 결합을 환원반응을 통해 절단시켜서 웨이브를 만들고, 환원된 모발에 산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공기 중의 산소와 서서히 접촉하면서 자연적으로 산화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웨이브가 고정되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자연적 산화이기 때문에 웨이브 형성 및 유지력이 낮다는 단점이 있고, 장시간(약 8~10시간)에 걸쳐 웨이브가 완성되므로 업소용으로 부적합합니다.반면 투스텝웨이브는 미용업.. 2025. 1. 27. 모발과학(34) 파마약의 종류(2) 오늘은 파마약의 종류를 산화제 즉 22제(퍼머넌트웨이브 2제 또는 중화제)의 차이점을 가지고 분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산화제의 종류에 따른 분류>지난 포스팅에서는 펌 1제 즉 환원제의 종류에 따른 파마약의 종류를 소개하였습니다. 오늘은 중화제라고 부르는 펌 2제(퍼머넌트웨이브2제)의 종류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파마약의 중화제는 산화제의 역할을 합니다. 펌1펌 1제의 환원제는 환원반응으로 시스틴결합을 끊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웨이브를 형성하였으면 다시 재결합을 하여 원래의 시스틴결합을 형성해야 합니다. 이 과정이 산화반응이어서 펌 2제를 산화제라고 부릅니다. 또는 알칼리와 반응하여 원래의 pH로 돌아가는 산성의 물질이라 하여 중화제라고 합니다. 산화제로 브롬산염을 사용하는 펌제>우리가 흔히 “브롬산”.. 2025. 1. 26. 모발과학(33) 파마약의 종류(1) 오늘은 펌(퍼머넌트 웨이브)약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펌1제에는 알칼리제와 환원제가 가장 중요한 성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중 환원제의 타입, 액성, 주요성분에 따라 구별하여 소개해보겠습니다.파마약은 환원제의 타입으로는 액상, 로션, 크림타입으로 나눠지고 액상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액상의 경우 일반적인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 시 흡수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크림타입은 점도성이 높으므로 주로 약이 머물러서 작용하는 시간이 비교적 길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스트레이트 펌과 같은 매직시술이나 열펌 시술에 사용하는 펌제는 크림타입으로 많이 출시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각각의 모발의 특징에 따라 타입을 선택하여 사용합니다. pH에 따른 종류>pH에 따라 크게 알칼리성 퍼머넌트 .. 2025. 1. 22. 모발과학(32) 펌(퍼머넌트 웨이브)의 화학반응 시스테인과 시스틴의 차이>모발구성단백질의 기본단위인 아미노산 중 시스테인에는 황(S) 성분이(S) 있습니다. 이 황이 다른 황과 결합하는 것을 이황화결합이라고 하고, 이황화 결합을 시스틴결합이라고 합니다. 펌1제를 도포하기 전의 모발은 황(S)과 황(S) 결합(│S – S│)으로 시스틴결합이 존재합니다. 1제를 처리한 모발은 시스틴 안에 함유된 황이 수소와 결합(│SH – HS│)하여, 산소를 잃어버린 상태가 됩니다. 실제 미용실에서 펌 과정 중 캡을 씌우는 이유는 산소와의 접촉을 막아 산소와의 결합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입니다. 산소를 잃어버리는 환원반응이 일어나야 1제가 제 역할을 제대로 하는 것이랍니다. (참고로 산소와 결합하는 반응은 산화반응입니다.) 우리가 흔치 치오~치오~ 부르는 파마약은 치오클.. 2025. 1. 20. 이전 1 2 3 4 5 6 7 ··· 1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