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모발과학44

모발과학(24) 모발의 성질(아미노산과 단백질, 주쇄결합) 아미노산과 단백질>모발은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고, 이 모발 단백질을 케라틴이라고 합니다. 단백질은 아미노산이라고 하는 기본 물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아미노산이란 아미노기와 카복실기를 하나씩 가지고 있는 화학물질로 약 20개가 존재합니다. 아미노산은 한쪽의 아미노기가 다른 아미노산의 카복실기와 공유결합을 할 수 있습니다. 모발 단백질을 만들기 위해서 많은 아미노산이 펩타이드 공유결합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케라틴은 많은 양의 시스테인을 가지고 있어 두 개의 시스테인이 산화되어 시스틴 이중결합을 만들어 모발의 형태를 만들어 냅니다. 시스테인과 시스틴결합에 대해서는 바로 다음 편에 소개하겠습니다.모발의 구성물질 중 케라틴 단백질은 80~90%를 차지하며, 탄소를 중심으로 원소들이 화합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 2025. 1. 5.
모발과학(23) 모발의 특성 중 빛과 열에 대한 성질 모발과 빛>태양광선은 파장의 길이에 따라 나뉘는데 가장 긴 파장부터 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 등으로 분류됩니다. 방사선과 자외선 중에서도 파장이 가장 짧은 자외선은 오존층으로 인하여 거의 지구상에 내려오지 않습니다. 오존은 선과 악의 두 얼굴을 가진 물질입니다. 오존이 우리 호흡기 주변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매우 해로운 물질이지만, 성층권에서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중요하고 고마운 역할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피부, 모발과 두피에 영향을 미치는 광선은  자외선인 UV- B, UV-A, 그리고 가시광선, 적외선입니다.모발과 자외선>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중 파장이 가장 짧은 자외선은 열을 발생하지 않고, 화학반응을 하기 때문에 화학선이라고도 합니다. 특히. 모발의 경우 자외선에 의하여 모발의 시스틴이 파괴되.. 2025. 1. 1.
모발과학(22) 모발의 팽윤 모발의 팽윤현상이란 모발의 본질은 변화하지 않고, 길이는 거의 그대로이면서 직경방향으로 부푸는 현상을 말합니다. 모발의 안정적인 수소이온농도 즉 pH를 등전점이라고 하고, 모발의 등전점 pH 4.5~5.5입니다. 모발은 산성이나 염기성 환경에 영향을 받습니다. 등전점에서 산성도가 증가하면 일반적으로 모발의 큐티클을 닫아 수축시키며, 부드럽고 윤기가 나게 해줍니다. 그러나 너무 산성도가 증가하여 pH=2 이하에서는 응고되거나 단단해지고 결국에는 분해됩니다. 즉 단백질이 주성분인 모발은 강한 산성에서는 굳어지다가 분해됩니다. 반면 산성도가 감소하는 염기성 용액에서도 팽윤도는 증가하지만 pH=10 이상이 되면 급격하게 팽윤 되어 결국 용해됩니다. 일반적인 펌제는 알칼리성 펌제가 가장 그 종류가 많아서 많이 사.. 2024. 12. 29.
모발과학(21) 모발의 특성 모발의 질감>모발의 질감은 모발 표면의 감촉을 말하는데, 모표피의 손상 정도 및 모발의 굵기에 따라 질감이 다릅니다. 모발의 손상도가 높을수록 질감이 강하게 나타나게 되고, 건강한 모발이나 가는 모발일수록 질감이 부드러운 질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모발의 질감으로 모발의 손상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도 간접적으로 사용합니다. 모발의 다공성>모발의 다공성이란 모발의 구멍 즉 공간이 생기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모발의 모표피의 손상으로 인해 모피질의 구성인 피질세포와 간충물질 및 수분 등이 유실되어 공간이 발생되고, 이것을 모발의 다공성이라고 합니다. 모발의 1차적 관문으로 들어가는 문에 해당하는 모표피가 뚫리면 당연히 물질이 모피질로 들어가기 쉽고 나가기도 쉬워지는 상태가 되므로 안에 있는 단백질, 간충물질, .. 2024. 12.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