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모발과학47 모발과학(27) 모발과 수소이온농도지수(pH) 란?>pH(potential of hydrogen)란 덴마크의 화학자 소렌슨이 용액 속의 수소이온의 농도를 수치화하여 표시하여 0부터 14까지 분류하고, 수소이온농도를 보다 쉽게 표현하는 방법을 pH로 정의하였습니다. 간단한 숫자로 산성, 알칼리성의 정도를 쉽게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물에 녹아 있는 물질에 수소이온농도(H+)가 많을수록 산성이 강하며 pH는 0~6까지입니다. 반대로 수산화이온농도(OH-)가 많을수록 알칼리성이 강하며 pH는 8~14입니다. 물속에 녹아 있는 두 이온의 농도가 같으면 액성은 중성이 되고 pH는 7입니다. pH 눈금은 수치마다 수소이온의 농도가 10배수로 증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수소이온이 많을수록 pH는 낮으며 산성이 강해진다고 표현합니다. 예를 들면 pH가 6에서 5로 .. 2025. 1. 13. 모발과학(26) 모발의 측쇄결합 중 이온결합과 수소결합 2025.01.06 - [모발과학] - 모발과학(25) 모발의 측쇄 결합 종류와 시스틴결합2025.01.05 - [모발과학] - 모발과학(24) 모발의 성질(아미노산과 단백질, 주쇄결합)모발을 이루는 결합에는 주쇄결합과 측쇄결합이 있습니다. 오늘은 측쇄결합(가로결합) 중 이온결합과 수소결합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모발의 주쇄결합을 세로결합이라고 하고, 아미노산들이 펩타이드결합을 통해 케라틴단백질의 주골격을 만드는 반응을 말합니다. 메인사슬결합(main chain bond)을 통해 주골격을 이루는 결합이어서 매우 결합력이 강합니다. 모발의 사이드사슬결합(side chain bond)을 측쇄결합이라고 하고 다른 표현으로 가로결합이라고 합니다. 시스틴결합, 이온결합, 수소결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세.. 2025. 1. 8. 모발과학(25) 모발의 측쇄 결합 종류와 시스틴결합 모발의 주쇄결합과 측쇄결합>모발의 결합은 크게 주쇄결합과 측쇄결합으로 나뉩니다. 주쇄결합을 세로결합이라고 하고, 아미노산들이 펩타이드결합을 통해 케라틴 단백질의 주골격을 만드는 반응을 말합니다. 메인사슬결합(main chain bond)을 통해 주골격을 이루는 결합이어서 매우 결합력이 강합니다. 모발의 사이드사슬결합(side chain bond)을 측쇄결합이라고 하고 다른 표현으로 가로결합이라고 합니다. 시스틴결합, 이온결합, 수소결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세 가지 결합의 화학반응에 따른 변화를 이용해서 펌 시술이 되는 것입니다.시스틴(cystine) 결합(이황화결합)>시스틴 결합은 시스테인이라고 하는 아미노산이 만드는 결합입니다. 시스테인 아미노산에 들어있는 황과 황(S-S)의 결합으로 두 개의 .. 2025. 1. 6. 모발과학(24) 모발의 성질(아미노산과 단백질, 주쇄결합) 아미노산과 단백질>모발은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고, 이 모발 단백질을 케라틴이라고 합니다. 단백질은 아미노산이라고 하는 기본 물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아미노산이란 아미노기와 카복실기를 하나씩 가지고 있는 화학물질로 약 20개가 존재합니다. 아미노산은 한쪽의 아미노기가 다른 아미노산의 카복실기와 공유결합을 할 수 있습니다. 모발 단백질을 만들기 위해서 많은 아미노산이 펩타이드 공유결합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케라틴은 많은 양의 시스테인을 가지고 있어 두 개의 시스테인이 산화되어 시스틴 이중결합을 만들어 모발의 형태를 만들어 냅니다. 시스테인과 시스틴결합에 대해서는 바로 다음 편에 소개하겠습니다.모발의 구성물질 중 케라틴 단백질은 80~90%를 차지하며, 탄소를 중심으로 원소들이 화합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 2025. 1. 5. 이전 1 ··· 3 4 5 6 7 8 9 ··· 12 다음 반응형